배포관련

EC2(Elastic Compute Cloud)? 컴퓨터를 빌려서 원격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하나의 컴퓨터를 빌리는 것! EC2가 왜 필요할까?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중점은 서버가 꺼지면 안 된다는 점입니다. 우리 집의 컴퓨터를 서버로 쓸 수 있겠지만. 전기세 어쩔티비..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내 컴퓨터에도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적으로 위험하다. AWS EC2는 여러 부가기능들(로깅, 오토스케일링, 로드밸런싱 등) 백엔드에서 보통 서버를 배포할 때 AWS EC2 로 배포한다고 한다. 자체적으로 온프레미스 형식으로 배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톰캣, 제우스 등등 프론트엔드에서는 AWS EC2로 배포하기보다는 AWS S3를 사용해서 주로 배포한다고 합니다.! vercel,..
배포란? 개발이 다 끝난 후 테스트까지 마치게 되면 배포하자! 라는 말을 합니다. 우리가 만든 웹 사이트를 다른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게 하려면 인터넷 상에 배포가 돼있어야 합니다. 간혹 localhost:8080/api/v1/~~ 본인 컴퓨터에 어플리케이션을 올려놓고 다른 사람이 못 들어오나요? 하는 사람들이 많고 저도 그런 줄 알았습니다. 나중에 네트워크를 공부하게 되면서 private ip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결국 통신을 하는 것은 public ip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갑자기 산으로 갔었던 느낌! 결론 배포라는 것을 하게 되면 다른 컴퓨터에서 그 주소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 네트워크 aws공부하면서, 한번씩 읽어본 것인데 왜 다시 공부하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부끄럽게도 aws..
예전에 공부하면서 만든 탄력적 IP를 할당하지 않아서 과금이 이렇게 되었던거 같다. ㅠㅠㅠ 체크 누르고 탄력적 IP 주소 릴리스 하면 삭제된다. 탄력적 IP주소 안 쓰면 삭제하자..
인터넷 게이트웨이란? VPC와 인터넷 간의 논리적인 연결 VPC에서 인터넷 구간으로 나가는 관문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VPC 당 1개만 연결이 가능 외부 인터넷 구간으로 통신할 수 있는 대상은 퍼블릭 IP 를 사용하는 퍼블릭 서브넷 내의 자원 퍼블릭 서브넷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외부 인터넷 구간으로 나가는 타깃을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 NAT 게이트웨이 외부 인터넷 구간과 연결하는 관문 역할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약자 네트워크 주소, IP 주소를 변환해 주는 기술 인터넷 구간은 공공 네트워크 구간으로 퍼블릭 IP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브라이빗 IP는 인터넷 구간으로 넘어올 수가 없는데, 이때 NAT 게이트웨이가 프라이빗 IP를 퍼블릭 IP로 변환하여 통..
VPC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가상 라우터가 생성된다 가상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어 목적지 네트워크로 라우팅하여 통신 그림과 같이 10.0.0.0/16 대역의 VPC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가상 라우터가 생성된다 가상 라우터는 기본 라우팅 테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경로만 잡혀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VPC의 자체 대역으로 VPC 내에 생성된 서브넷은 라우팅 테이블의 로컬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다
서브넷의 개념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망 클라우드 환경의 VPC에서도 서브넷을 통해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나눌 수 있다 AWS에서 서브넷의 IP 대역마다 예약된 IP 주소 예를 들어 서브넷에 할당한 IP 대역이 10.0.0.0/24 이라면 10.0.0.0 ~ 10.0.0.255 중에서 첫번째 주소 : 10.0.0.0 -> 네트워크 주소 두번째 주소 : 10.0.0.1 -> AWS VPC 가상 라우터 주소 세번째 주소 : 10.0.0.2 -> AWS DNS 서버 주소 네번째 주소 : 10.0.0.3 -> 향후 새로운 기능에 활용할 주소 마지막 주소 : 10.0.0.255 ->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주소 참고사항 기본적으로 예약된 IP 주소를 고려하여 생성해야 한다 특정 서비스에 대해 IP 주소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