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노션에 있는 글을 옮기게 되었습니다.
https://cow.oopy.io/53c269e9-4e34-4d2f-a586-b6c00f1fb918
- On-Premise 시스템은 기업이 직접 보유하는 시스템들로 일반적으로 Client-Server 또는
- 3-Tier 환경으로 구성된다.
- 정리
- 온프레미스의 클라이언트 서버 아키텍처
- 사용자가 접속하는 쪽이 클라이언트, 서버는 WEB, WAS, DB로 구성
- 웹과 와스의 차이점?
- 웹은 기존에는 웹으로 만들어짐 → HTML같은 웹 페이지라고 해서 브라우저 상에서 보여지는 구성들을 웹이라고 함. 웹의 데이터들을 여기에서 담아서 처리를 했었음
- 이미지도 나올 수 있고, 텍스트도 나올 수도 있고 웹 사이트에서 제공을 해줬음
- 근데 점점 웹에 어떤 기능들이 추가가 되면서 계속 많은 기능들을 처리하기에 필요했던 상황이였음
- 데이터들을 가지고 보여주거나 입력 받거나 하는 것들이 필요했던 상황에 의해서 웹 어플리케이션 개념의 서버들이 출현
- 여기에 어플리케이션을 담기 시작
- 어플리케이션: 웹의 정적인 데이터와는 다르게 동적이다.
- 가장 이해가 안 갔던 점이고 잘 안 외워졌던 점이 WAS와 WEB의 차이였다.
- 어플리케이션이 동적인것은~ DB와 접속을 하기 때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 DB가 왜 동적인가??
- 텍스트는 한번 정해놓으면 바꿀 수 없다. 이미지도 마찬가지
-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바뀔 수가 있다 (변경가능 → 동적)
- 예를 들어 게시판 같은 경우, 새로 게시물을 추가하면 목록도 변경된다.
- IDC에 실제 서버가 있었었음(기존) → 접속을 해서 사용했었음
IT 인프라의 구성 요소